경피용 BCG, 말이 어렵죠? 1세가 채 안된 영아 애기들이 결핵을 대비해 맞는 예방접종을 뜻하는데 최근 일본 후생성에서 BCG용액의 첨부용액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준금속 "비소"가 검출되어 출하를 정지했다고 합니다. 때문에 한국에서도 관련 제품들은 회수에 들어간다고 하는데 이번에 문제가 되어 회수처리되는 약품은 경피용 건조 BCG백신(일본균주)이며 제조번호는 KHK147, KHK148, KHK149 세가지 입니다.
즉, 국내에서 검출된 것이 아니고 일본 후생성에서 검출을 한 것이고 백신 자체의 기준치가 초과한 것이 아니고 첨부용액에서 초과를 했다고 합니다.
비소란?
원자번호 : 33
기호 : As
원자량 : 74.921595
밀도 : 5.727 g/㎤
원자가 : 5
상태 : 고체
비소는 독성물질이지만 새우, 식용생물, 일상품 중에도 치사량 만큼은 아니지만 극소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소는 합금 첨가제로 사용되며 구리에 첨가하면 내열성이 증가하고 납에 포함하면 굳기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독성물질인 비소는 의외로 매독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었으나 사망, 심부전, 괴사등의 부작용이 발견되어 현재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홑원소물질 비소에는 독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순수한 비소 자체에는 독성이 없으며 공기중에 노출되어 산소와 결합하게 되면 맹독의 산화비소가 발생하며 다른 원소들과 결합시 독성이 생성되므로 우리가 자연상태에서 구할 수 있는 비소 화합물은 모두 독성을 가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피용 BCG는 문제가 있을까?
최초 검출을 한 일본 후생성의 경우 기준치를 초과했지만 소량이라 안전성에 문제는 없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번에 검출된 비소의 양은 0.039 μmg으로 1일 허용 기준치인 1.5μg에 못미친다고 합니다.
또한 BCG의 경우 매일 맞는 것이 아니라 일평생에 단 1회만 접종을 하기에 더욱이 상관없다고 하지만 인체에 그것도 아기의 인체에 들어가는 부분이다 보니 갑론을박이 많이 있습니다,.
접종 후 이상 반응이 있을때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를 통해 해당 제품명, 수입업체를 공개하고 지정 병원등을 확인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위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상증상이 발생할 경우 신고할 수 있는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BCG 백신 접종 조회>, <피내용 BCG 백신 무료접종 의료기관 검색>,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이동>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들어가기>를 통해 접속한 뒤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있는 <이상반응 신고하기>를 클릭해 신고하는 사람의 인적사항 (이름, 연락처, 피접종자와의 관계, 주소)과 실제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의 인적사항 (이름, 출생일, 성별)을 기입하면 됩니다.
'알려주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불량화소 테스트 하는 방법 따라하기 (0) | 2018.11.14 |
---|---|
카톡 메세지가 와도 알림이 울리지 않을때 확인해 볼 것 (0) | 2018.11.12 |
카드 도용 방지하는 방법 (0) | 2018.11.08 |
이마트 트레이더스 비산점 영업시간, 주차요금 안내 (0) | 2018.11.07 |
초보운전을 위한 도로위 흰색과 주황색 차선들의 의미를 알아보는 시간 (0) | 201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