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를 취득하고 차를 운전하고 단순히 앞으로만 가는거라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신호등도 보고 차선도 변경하고 주차도 하고 이런 것들을 모두 할 줄알아야 운전을 한다고 말할 수 있는거겠죠.
하지만 운전을 하면서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거리의 표지판과 차선등 교통의 규칙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거랍니다. 남들이 다 아는데 나만 몰라서 차선을 위반해 사고가 난다면 나는 억울할지 모르지만 남들이 볼땐 교통체계나 규칙도 모르고 운전한다고 미숙하다고 생각을 하겠죠?
오늘은 여러가지의 교통 규칙 중 도로의 차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색 차선
◈ 백색 차선은 나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중인 차들과 차 사이를 그린 차선입니다. 백색 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들은 나와 같은 방향으로 가는 정주행 차량들입니다.
(1) 백색 점선
백색 점선 구간은 차선간 차선변경이 가능한 곳입니다. 차선 변경 전에는 항상 깜빡이를 켜는 것을 잊지마시고 깜빡이를 점등 후 차선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2) 백색 실선
백색 실선 구간은 차선간 차선변경이 불가능한 곳입니다. 실선이 있다면 차로 변경없이 쭉~ 앞으로 달리시면 됩니다. 보통 터널이나 교량, 직진과 좌회전 차선이 구분되는 곳 등에 주로 있습니다.
(3) 백색 혼합선
백색 점선과 실선이 공존하는 이곳은 점선쪽에 있는 차량은 실전쪽으로 (그림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선변경이 가능하지만 반대인 실선구간에 있는 차량은 점선차선으로 (그림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차선변경이 불가능한 구간입니다.
보통은 고속도로나 외각도로에서 합류지역과 지하도가 끝나고 본차선과 만나는 합류지역에 많이 있습니다.
(4) 백색 이중실선
백색 이중실선은 차로변경 절대 금지 구역입니다. 사고다발지역이거나 위험한 곳에 지로 그려져 있으므로 2중실선일때에는 차로 변경에 대한 생각을 잠시 잊으시길 바랍니다.
주황색 차선
◈ 주황색 차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는 차량들간 경계를 나타내는 차선으로 중앙선이라 부르며 이 차선을 넘어가면 역주행이 됩니다. 또한 이 차선을 넘어가서 사고가 날 경우 12대 중과실에 포함되므로 사고에 대한 독박을 쓸 수 있으니 매우 주의해야 하는 차선이 바로 주황색 차선입니다.
(1) 주황색 실선
(2) 주황색 2중실선
주황색 실선은 넘어가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왕복 2차선 (편도 1차선)의 경우에는 1줄의 주황색 차선으로 그려져 있고 그보다 넓은 도로에는 2중의 주황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3) 주황색 점선
주황색 점선은 중앙선이긴 하지만 필요(공사, 주정차 차량, 짐)에 의해 잠시 차선을 넘어갈 수 있는 구간입니다.
특수 차선
(1) 파란색 차선
파란색으로 그려진 차선은 버스전용 차선을 의미합니다. 버스와 일부 허용된 차량을 제외하고 일반 차량은 진입을 할 수 없는 구간입니다.
점선과 실선에 따라 버스가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구역은 일반 흰색 차선과 동일합니다.
(2) 지그재그점선
지그재그로 그려진 차선이 있다면 위험 구역이므로 속도를 줄이라는 뜻입니다.
학교 앞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노인 보호구역 등 저속으로 사방을 살피며 운전해야 하는 곳에 주로 그려져 있습니다.
'알려주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 도용 방지하는 방법 (0) | 2018.11.08 |
---|---|
이마트 트레이더스 비산점 영업시간, 주차요금 안내 (0) | 2018.11.07 |
영등포 기차역 주차장 위치와 주차요금 (0) | 2018.10.24 |
이마트 대구 칠성점 영업시간, 주차요금 안내 (0) | 2018.10.11 |
조상묘를 손질하는 또 한가지 방법, 벌초대행 서비스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