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이 흑호랑이해였다면 2023년은 흑토끼해로 가는 호랑이의 해와 오는 토끼해의 해넘이(일몰) 시간과 해돋이(일출) 시간, 그리고 각 지역의 일출명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12월31일 호랑이해 해넘이(일몰)시각>
지역에 따라 몇분의 차이는 납니다. 일몰의 시작이 조금 빠른편에 속하는 김해 대성동은 17시 24분, 조금 느린편에 속하는 제주 한담해변 17시 38분으로 약 10분 정도가 차이납니다. 평균적인 해넘이(일몰)시간은 위와 같지만 지역에 따라서 편차가 발생하는 곳도 있는데요. 울릉도 전망대의 경우 17시 09분, 독도는 17시 05분으로 다른곳에 비해 20분 정도 빠른곳도 있습니다. 지역별 상세 해넘이(일몰) 시각은 아래 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지역 | 일몰 | |
시 | 분 | |
서울 | 17 | 23 |
부산 | 17 | 21 |
대구 | 17 | 21 |
인천 | 17 | 25 |
세종 | 17 | 25 |
대전 | 17 | 25 |
광주 | 17 | 30 |
울산 | 17 | 19 |
지역 | 일몰 | |
시 | 분 | |
감포수중릉 | 17 | 18 |
강릉경포대 | 17 | 15 |
강릉정동진 | 17 | 15 |
강릉주문진 | 17 | 15 |
강화도동막 | 17 | 25 |
거제학동몽돌 | 17 | 24 |
고성백도 | 17 | 15 |
고성송지호 | 17 | 15 |
고성화진포 | 17 | 15 |
고흥외나로도 | 17 | 29 |
당진난지도 | 17 | 27 |
당진왜목마을 | 17 | 26 |
대왕암공원 | 17 | 19 |
독도 | 17 | 5 |
동해망상 | 17 | 15 |
동해추암 | 17 | 15 |
무안도리포 | 17 | 32 |
무의도하나개 | 17 | 26 |
보령대천 | 17 | 29 |
보령무창포 | 17 | 29 |
부산다대포 | 17 | 22 |
부산태종대 | 17 | 22 |
부산해운대 | 17 | 21 |
부안격포 | 17 | 31 |
부안곰소항 | 17 | 30 |
삼척맹방 | 17 | 15 |
서귀포강정 | 17 | 37 |
서귀포마라도 | 17 | 38 |
서귀포이어도 | 17 | 38 |
서귀포표선 | 17 | 36 |
서산간월암 | 17 | 28 |
서천춘장대 | 17 | 29 |
석모도민머루 | 17 | 26 |
성산일출봉 | 17 | 34 |
속초항 | 17 | 15 |
신안가거도 | 17 | 40 |
신안홍도 | 17 | 38 |
신안흑산항 | 17 | 37 |
안면도꽃지 | 17 | 29 |
양양낙산 | 17 | 15 |
양양하조대 | 17 | 15 |
영광가마미 | 17 | 31 |
영덕고래불 | 17 | 16 |
영덕장사 | 17 | 17 |
영흥도장경리 | 17 | 26 |
완도보길도 | 17 | 34 |
울릉도 | 17 | 8 |
울산간절곶 | 17 | 20 |
울산방어진 | 17 | 19 |
울산주전몽돌 | 17 | 19 |
울진망양정 | 17 | 15 |
울진죽변 | 17 | 15 |
인천대청도 | 17 | 32 |
인천백령도 | 17 | 31 |
인천소청도 | 17 | 32 |
인천연평도 | 17 | 28 |
인천월미도 | 17 | 25 |
인천을왕리 | 17 | 26 |
제주차귀도 | 17 | 38 |
제주협재 | 17 | 37 |
진도세방낙조 | 17 | 35 |
태안만리포 | 17 | 29 |
포항구룡포 | 17 | 17 |
포항칠포 | 17 | 18 |
포항호미곶 | 17 | 17 |
포항화진 | 17 | 17 |
해남땅끝마을 | 17 | 34 |
화성궁평 | 17 | 26 |
화성전곡항 | 17 | 26 |
화성제부도 | 17 | 26 |
<2023년 1월1일 토끼해 해돋이(일출)시각>
해넘이(일몰) 시간이 지역마다 수분의 차이가 나듯이 해돋이(일출) 시간도 지역마다 차이가 납니다. 울산 대왕암이나 방어진, 간절곶 쪽은 7시 31분이고 인천 백령도, 대청도 쪽은 7시 57분으로 25분 가량 차이가 납니다. 지역별 상세 해돋이(일출) 시각은 아래 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지역 | 일출 | |
시 | 분 | |
서울 | 7 | 47 |
부산 | 7 | 32 |
대구 | 7 | 36 |
인천 | 7 | 48 |
세종 | 7 | 43 |
대전 | 7 | 42 |
광주 | 7 | 41 |
울산 | 7 | 32 |
지역 | 일출 | |
시 | 분 | |
감포수중릉 | 7 | 32 |
강릉경포대 | 7 | 40 |
강릉정동진 | 7 | 39 |
강릉주문진 | 7 | 40 |
강화도동막 | 7 | 49 |
거제학동몽돌 | 7 | 33 |
고성백도 | 7 | 43 |
고성송지호 | 7 | 43 |
고성화진포 | 7 | 43 |
고흥외나로도 | 7 | 36 |
당진난지도 | 7 | 48 |
당진왜목마을 | 7 | 47 |
대왕암공원 | 7 | 31 |
독도 | 7 | 26 |
동해망상 | 7 | 38 |
동해추암 | 7 | 38 |
무안도리포 | 7 | 43 |
무의도하나개 | 7 | 49 |
보령대천 | 7 | 45 |
보령무창포 | 7 | 45 |
부산다대포 | 7 | 32 |
부산태종대 | 7 | 32 |
부산해운대 | 7 | 32 |
부안격포 | 7 | 44 |
부안곰소항 | 7 | 43 |
삼척맹방 | 7 | 37 |
서귀포강정 | 7 | 37 |
서귀포마라도 | 7 | 38 |
서귀포이어도 | 7 | 38 |
서귀포표선 | 7 | 35 |
서산간월암 | 7 | 46 |
서천춘장대 | 7 | 45 |
석모도민머루 | 7 | 50 |
성산일출봉 | 7 | 36 |
속초항 | 7 | 42 |
신안가거도 | 7 | 45 |
신안홍도 | 7 | 46 |
신안흑산항 | 7 | 45 |
안면도꽃지 | 7 | 46 |
양양낙산 | 7 | 42 |
양양하조대 | 7 | 41 |
영광가마미 | 7 | 43 |
영덕고래불 | 7 | 34 |
영덕장사 | 7 | 34 |
영흥도장경리 | 7 | 48 |
완도보길도 | 7 | 40 |
울릉도 | 7 | 31 |
울산간절곶 | 7 | 31 |
울산방어진 | 7 | 31 |
울산주전몽돌 | 7 | 32 |
울진망양정 | 7 | 35 |
울진죽변 | 7 | 36 |
인천대청도 | 7 | 57 |
인천백령도 | 7 | 57 |
인천소청도 | 7 | 56 |
인천연평도 | 7 | 52 |
인천월미도 | 7 | 48 |
인천을왕리 | 7 | 49 |
제주차귀도 | 7 | 39 |
제주협재 | 7 | 39 |
진도세방낙조 | 7 | 42 |
태안만리포 | 7 | 48 |
포항구룡포 | 7 | 32 |
포항칠포 | 7 | 33 |
포항호미곶 | 7 | 32 |
포항화진 | 7 | 34 |
해남땅끝마을 | 7 | 40 |
화성궁평 | 7 | 47 |
화성전곡항 | 7 | 47 |
화성제부도 | 7 | 47 |
시 | 분 | |
가지산(울산) | 7 | 33 |
내연산(포항) | 7 | 34 |
두타산(동해) | 7 | 38 |
보현산(영천) | 7 | 35 |
설악산(인제) | 7 | 42 |
소백산(단양) | 7 | 39 |
오대산(홍천) | 7 | 41 |
응봉산(서울) | 7 | 37 |
주왕산(청송) | 7 | 35 |
청량산(봉화) | 7 | 37 |
토함산(경주) | 7 | 32 |
팔공산(군위) | 7 | 36 |
<해넘이(일몰) 명소>
서울 경기 해넘이(일몰) 명소
시화나래휴게소 :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
|
충청도 해넘이(일몰) 명소
꽃지해수욕장 : 충남 태안군 안면읍
|
경상도 해넘이(일몰) 명소
다대포 해수욕장 : 부산 사하구 다대동6
|
전라도 해넘이(일몰) 명소
채석강 :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
제주도 해넘이(일몰) 명소
용두암 : 제주시 용두암길
|
<해돋이(일출) 명소>
서울, 경기 해돋이(일출) 명소
거잠포선착장: 인천 중구 운서동
|
강원도 해돋이(일출) 명소
경포대: 강릉시 저동
|
충청도 해돋이(일출) 명소
간월암: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
경상도 해돋이(일출) 명소
대구 앞산: 대구 남구 대명동
|
전라도 해돋이(일출) 명소
지리산노고단대피소: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
제주도 해돋이(일출) 명소
마라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