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USB나 외장하드 혹은 웹하드를 통해서 자료저장을 할텐데요. 회사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문서양식이나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는 사내 공유서버를 통해 회사내 어디서든 접속해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기도 합니다.
저희 회사 역시 모든 직원들의 컴퓨터에 공용으로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이나 양식들은 공유서버를 통해 내려받도록 해놨는데요. 윈도우7에서는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윈도우10에서 가끔 컴퓨터를 포멧하고 나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더군요.
에러(Error) 메세지
조직의 보안 정책에서 인증되지 않은 게스트 액서스를 차단하므로 이 공유 폴더에 액서스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안전하지 않거나 악의적인 장치로부터 PC를 보호하도록 도와줍니다.
바로 이러한 문구의 에러메세지가 출력되며 사용 중이던 공유서버에 접속 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처음에 방법을 몰라 공유설정도 변경해 보고 방화벽 설정도 변경해보고 공유와 관련된 옵션들을 다 변경해봐도 접속이 안되더군요.
지금부터 윈도우10 이용시 이러한 에러메세지와 함께 공유서버에 접속할 수 없다면 아래 설명해둔 것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찾아보니 윈도우10에서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네요.
공유서버 사용을 위해 윈도우10 옵션 변경하기
1) "시작" → "검색" (혹은 윈도우키+R)을 통해 빨간색 서류가방 아이콘을 하고있는 "mmc.exe"를 실행합니다.
2) "mmc.exe"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콘솔1"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 창이 열립니다.
"파일" → "스냅인 추가/제거"를 선택합니다.
3) "스냅인 추가/삭제"창이 나타나면 "그룹 정책 개체 편집기" → "추가(A)" → "마침" → "확인"을 차례로 선택합니다.
4)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Lanman 위크스테이션" → "보안되지 않응ㄴ 게스트 로그온 사용"을 차례로 선택합니다.
5)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 → "사용(E)" → "확인"을 차례로 선택합니다.
윈도우10에서 공유서버를 사용하기 위한 모든 설정 변경이 끝났습니다. 이제 다시 사내의 공유서버에 접속해 보시면 에러메세지 없이 원래대로 접속된답니다. 윈도우7에서는 이러한 증상이 없는데 유독 윈도우10에서만 포멧 후 동일증상이 가끔 나타나네요.
'알려주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별 우리은행 ATM기 이용가능시간 확인하기 (0) | 2018.11.28 |
---|---|
"오피넷"을 통해 우리동네 저렴한 주유소를 찾는 방법 (기름값 비교 사이트) (0) | 2018.11.27 |
(사전예약가능) 덕유산 눈꽃관광을 위한 곤도라 이용시간 및 이용요금 (0) | 2018.11.22 |
포스팅전 한국어 맞춤법 검사를 해보자 (0) | 2018.11.21 |
티스토리 fastboot 카테고리 출력화면을 변경하는 방법 (0) | 2018.11.19 |